혁신학교 관련 자료 및 논문
페이지 정보
작성자 댓글 0건 조회 4,297회 작성일 13-04-26 16:54본문
참고문헌
김성열(2006). 학교 혁신, 리더 교사 그리고 평생 교육. 한국교원교육연구, 23(1) 291-305.
김성천(2009). 학교혁신의 핵심원리: 교장공모제를 실시한 D중학교를 중심으로. 한국교육사회학연구, 19(2) 56-89.
김성천(2011). 혁신학교란 무엇인가? 서울: 맘에드림
김성천․오재길(2012). 학부모가 알아야 할 혁신학교의 모든 것. 서울: 맘에드림
김수경(2011).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. 교육행정학연구, 29(4) 145-168.
김영미 외(2011). 행복한 혁신학교 만들기. 서울: 살림터.
김인희(2007). 학교의 형식주의와 학교혁신에 대한 연구. 교육행정학연구, 25(3) 29-56.
김정현(2011a). 교원의 학교개혁 참여 양상에 관한 연구. 교육행정학연구, 29(3) 25-47.
김정현(2011b). 학교개혁의 동인과 의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.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.
김현섭(2011). 혁신학교 운동을 위한 수업 혁신 모델 비교 연구. 열린교육실행연구, 14 55-78.
김현진(2006). 공영형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인식조사연구. 교육행정학연구, 24(1) 313-338.
김효정․김민조(2011). 학교 내 교사 협력이 교사의 학교 개혁 실천에 미치는 영향 탐색. 교육행정학연구, 29(3) 77-99.
박상완(2009). 개방형 자율학교의 학교혁신 사례분석. 교육행정학연구, 27(2) 177-201.
변기용(2009). 대학 자율화 정책의 쟁점과 대안: 5.31 교육개혁 이후의 시장적 대학자율화 논의를 중심으로. 교육정치학연구, 16(1) 135-164.
백병부․성열관(2011). 교사의 혁신적 태도 및 신념의 내면화 결정 요인 분석: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. 한국교원교육연구, 28(3) 101-125.
서근원(2005). 산들초등학교의 교육공동체형성에 관한 교육인류학적 연구.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.
서근원(2011). 학교 혁신을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 모색: 해석적 교육사회학의 관점에서. 한국교육, 38(3) 209-240.
서길원(2010). 학교혁신을 위한 과제, 미간행 유인물.
서용희․주철안(2007). 미국의 성공적인 학교교육혁신사례 비교연구. 비교교육연구, 17(3) 191-215.
서정화(2009). 이명박 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. 교육행정학연구, 27(2) 481-499.
성열관(2011). 대담- 진보교육감 시대, 혁신학교의 의미와 과제. 교육비평 28.
성열관․이순철(2011). 혁신학교-한국교육의 희망과 미래. 서울: 살림터.
송주명(2011). 경기도 혁신교육의 새 방향- 창의지성교육. 국제혁신교육 심포지엄 자료집.
신현석(2005). 교육개혁의 이념과 철학: 교육개혁 10년의 반성과 과제. 교육정치학회 연차학술대회자료집.
안선회(2005). 학생 학부모가 하께 참여하는 교원평가. 학교운영위원회, 59 22-33.
양성관(2009). 대학입학사정관제의 특징 및 개선방안 분석- Cooper 등의 4차원 정책 분석모형을 사용하여. 교육정치학연구. 16(3) 125-148.
오세흠(2006). 차터스쿨형 학교 운영 모형 탐색.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.
유영진(2011). 혁신학교, 그 도전이 시작되다! 열린전북 2011(5) 64-67.
이경호(2011). 전문가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장의 역할 탐색. 교육행정학연구. 29(3) 195-221.
이기명․천세영(2011). A초등학교는 왜 변하지 않을까? 교육행정학연구, 29(3) 223-247.
이부영(2011). 혁신학교, 무엇을 혁신하고 경계해야 하나? 우리교육, 2011(3) 116-127.
이재훈(2005). 카오스이론에 의한 학교혁신과정분석. 교육행정학연구, 23(2) 1-22.
임연기(2006). 학교혁신 국내․외 사례 비교연구.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.
장훈․김명수(2011). 경기 혁신학교 운영사례분석: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11(1), 311-333.
정바울․황영동(2011). 자생적 학교혁신의 확산경로와 과정에 대한 연구. 교육행정학연구, 29-2 313-338.
정훈(2010). Cooper 등의 교육정책분석이론 및 모형에 관한 연구. 국가정책연구, 24(4) 147-164.
조금주(2012). 학교다양화 정책 속에서 살펴본 혁신학교의 성과 및 과제. 중등교육연구, 60(2) 415-439.
조상식(2011). 혁신학교와 교육패러다임의 변화. 서울교육, 53(1) 19-23.
최병훈(2010). 혁신학교에 길을 묻다. 열린전북, 2010(9) 57-59.
최연희(2011). 학부모, 진정 혁신학교를 바라는가? 우리교육, 2011(3) 128-137.
한대동(2008). 수업과 교사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학교혁신 사례연구: 한국과 일본의 시범학교 비교, 비교교육연구, 18(1) 141-169.
허봉규(2011). 혁신학교 운영모델 탐색: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.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